IT 성장일기
[정보처리기사] 정적테스트, 동적테스트 본문
반응형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 중 따로 정리하고 싶은 내용을 기록합니다.
정적테스트, 동적테스트
정적테스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지 않고 테스트하는 기법.
실제 시스템이 구현되기 전에 요구사항 정의서, 설계서, 소스코드 등 개발의 산출물을 테스트하는 것
- 리뷰
전문가들이 모여 코드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산출물을 검토하고 테스트하여 결함을 검출함.
- 비공식적 리뷰 : 공식적인 절차가 존재하지 않음.
- 기술적 리뷰 : 문서화되고 정의된 프로세스가 존재함.
- 워크쓰루
- 인스펙션 - 정적분석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
동적테스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실제로 구현된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기법
- 명세기반 테스트 (블랙박스 테스트)
소스코드나 내부 구조를 참조하지 않고 테스트 명세서 등을 바탕으로 테스트함.
- 동등 분할 테스트 : 동일한 동작을 하는 입력 값의 그룹은 동등한 것으로 취급함.
- 경곗값 분석 테스트 : 입력 값의 경계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식별함.
- 결정 테이블 테스트
- 상태 전이 테스트
- 분류 트리 테스트
- 조합 테스트
- 시나리오 테스트 - 구조기반 테스트 (화이트박스 테스트)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기법.
- 구문 커버리지 : 코드의 각 문장의 단위로 테스트함.
- 결정 커버리지 : 코드의 모든 분기점이 실행되는지를 테스트함.
- 조건 커버리지 : 코드의 조건문에서 모든 조건이 충족되었는지를 테스트함.
- 경로 커버리지 : 소프트웨어 코드의 모든 가능한 실행 경로를 테스트함.
- 데이터 흐름 분석 : 데이터 흐름을 분석하여 변수의 정의, 사용, 변경 등을 테스트함. - 경험기반 테스트
테스터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여 테스트하는 기법.
유연성과 적응성, 효율성, 비용 절감 등의 장점을 가짐.
- 오류 추정
- 탐색적 테스트
반응형
'Cer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OSI 7계층 (0) | 2024.03.18 |
---|---|
[정보처리기사] S.O.L.I.D - 객체지향의 5원칙 (1) | 2024.03.18 |
[정보처리기사] 정규화(Normalization)와 반정규화(De-Normalization) (1) | 2024.03.11 |
[정보처리기사] UML의 구성요소 (2) | 2024.03.06 |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의 3대 요소 (0) | 2024.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