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OS/Linux (4)
IT 성장일기

리눅스에서 스토리지 용량 확인하기리눅스에서 스토리지 용량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로는 아래와 같이 두가지가 있습니다.df(disk free)du(disk usage)각각의 사용법과 차이점을 간단하게 정리합니다. df(disk free)명령어df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표시합니다./*default*/df [option] -h 옵션을 붙여주면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단위가 붙어서 표시됩니다.아주 편리한 옵션이라서 저는 무조건 붙여줍니다./*읽기 쉽게 표시*/df -h -i 옵션은 파일 시스템의 inode 사용량을 표시해줍니다.-T 옵션은 파일 타입을 함께 표시합니다. 대문자를 사용합니다./*파일시스템의 inode 사용량 표시*/df -h -i/*파일시스템의 타입 표시*/df -h -T 디렉토리..

리눅스에서 디렉토리 복사, 이동, 삭제하기 디렉토리 복사 아래 명령어를 이용해 타겟 디렉토리를 다른 경로로 복사할 수 있습니다. cp targetObject your/new/path/copied 'copied' 폴더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폴더 하위에 동일한 이름으로 복사됩니다. 'copied' 폴더가 존재하지 않으면 원본 폴더의 이름이 바뀌어 'copied'라는 이름으로 복사됩니다. /*Result*/ /*dirName 폴더가 존재하는 경우*/ your/new/path/dirName/targetObject /*dirName 폴더가 없었던 경우*/ your/new/path/dirName 디렉토리 이동 이동의 경우 복사의 명령어와 비슷합니다. cp를 mv로 바꾸기만 하면 됩니다. mv targetObject..

Linux에서 톰캣 로그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톰캣이 출력하는 로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을 열고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이 때 usr/local/tomcat/logs 부분은 톰캣 로그 디렉토리임을 의미하므로 각자 알맞은 디렉토리를 입력하여야 합니다. tail -f /usr/local/tomcat/logs/catalina.out 또는 톰캣 로그 디렉터리로 이동해 직접 명령을 내릴 수도 있습니다. 이 때는 로그 디렉터리 경로를 입력할 필요가 없습니다. tail -f catalina.out 마지막으로 생성된 로그 파일의 내용이 출력됩니다. 또 다른 터미널을 열고 톰캣 셧다운 명령어를 입력해보겠습니다. 로그를 출력하는 터미널의 내용이 실시간으로 출력됩니다. 감사합니다.🙂

Linux에서 Tomcat 서버 Shutdown / Startup 하기 터미널에서 톰캣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bin 디렉터리가 보입니다. bin 디렉터리 내부에 서버의 종료와 시작을 담당하는 shutdown.sh, startup.sh 파일이 있습니다. bin 바로 위의 디렉터리에서 명령어를 입력해주거나 bin 디렉터리 내부에서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 톰캣을 종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bin/shutdown.sh" 또는 "./shutdown.sh" (bin 폴더 내부에서) 톰캣을 다시 시작하려면 "bin/startup.sh" 또는 "./startup.sh" (bin 폴더 내부에서)를 입력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