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성장일기
[정보처리기사]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본문
반응형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규칙을 의미합니다.
구분과 종류가 정말 많아서 헷갈리지 않도록 한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Static Routing Protocol)
네트워크의 관리자가 수동으로 경로를 설정한다.
네트워크 구성의 변경이나 트래픽의 패턴의 갱신이 일어날 경우 직접 경로를 업데이트해야 한다.
특징
- 소규모의 간단한 네트워크 구성에 적합함.
- 특정 경로를 통과해야 할 경우 사용하기도 함.
- 자원을 절약할 수 있음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Dynamic Routing Protocol)
라우터 간의 경로 정보를 자동으로 교환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라우팅 방식이다.
네트워크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하다.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자치 시스템 (AS, Autonomous System)의 범위에 따라 IGP와 EGP로 구분할 수 있다.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동일한 자치 시스템 내에서 라우터 간 경로를 교환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홉 수를 기반으로 최단 경로를 찾아내는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 Bellman Ford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최대 15개의 홉까지만 탐색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 따라서 소 규모의 네트워크 라우팅에 적합하다. -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네트워크 내의 라우터 간 링크 상태 정보를 토대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는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 Dijkstra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 홉 수가 제한되어 있는 RIP의 한계를 극복했다.
- 따라서 중,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 EIGRP(Enhanced Interior Routing Protocol)
- Cisco에서 개발한 고급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 대역폭, 딜레이, 신뢰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경로를 설정한다.
- OSPF와 마찬가지로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자치 시스템 간 경로를 교환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EGP의 종류로써는 BPG가 있다.
- BGP(Border Gateway Protocol)
-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주요 프로토콜이다.
- TCP/IP 프로토콜 상에서 동작하며 TPC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장점으로 가진다.
- 출발지 / 목적지 정보, 경로의 길이, 라우팅 정책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한다.
지금까지 정리한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를 테이블로 정리하고 마무리하겠습니다.
라우팅 프로토콜 | |||
경로 설정방식 |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 | ||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 자치 시스템 범위 | 프로토콜 명 | |
IGP | RIP | ||
OSPF | |||
IEGRP | |||
EGP | BGP |
반응형
'Cert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클라우드 컴퓨팅 (1) | 2024.03.24 |
---|---|
[정보처리기사] 보안솔루션 (0) | 2024.03.23 |
[정보처리기사] 결합도 (0) | 2024.03.20 |
[정보처리기사] 접근 제어 방식 (0) | 2024.03.19 |
[정보처리기사] OSI 7계층 (0) | 2024.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