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성장일기

[정보처리기사] 클라우드 컴퓨팅 본문

Cert/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클라우드 컴퓨팅

고 양 2024. 3. 24. 22:47
반응형
클라우드 컴퓨팅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각종 IT 인프라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은 비용 절감, 유연성, 확장성의 확보 등의 이점을 얻게 됩니다.

 

 

공용 클라우드(Public Cloud)

기업과 개인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로써 유연한 확장성과 다양한 서비스를 특징으로 갖는다.

AWS, MS Azure, Google Cloud Flatform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사설 클라우드(Private Cloud)

기업과 조직 내부에서 운영하는 클라우드 환경으로써 보안과 규정 준수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복합 클라우드(Hybrid Cloud)

보안 및 규정 준수를 요구하는 부분은 사설 클라우드를 통해 운영하고,

나머지는 공용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유연성을 확보하는 모델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서비스 모델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상화 된 인프라를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수준의 서비스이다.
대표적으로 AWS, Azure 등의 가상 서버가 있다.

  • 네트워크

  • 스토리지

  • 서버

  • 가상화 된 리소스

 

 

FaaS(Function as a Service)

IaaS와 PaaS 사이에 위치한 수준의 서비스이다.
FaaS는 기능 단위의 코드를 실행하고 특정 기능을 테스트 할 수 있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AWS Lambda, Azure Functions 등의 서비스가 있다.

 

 

PaaS(Platform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테스트. 배포 및 관리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수준의 서비스이다.
대표적으로 Heroku, Azure App Service 등이 있다.

  • Iaas의 네트워크, 스토리지, 서버, 가상화 된 리소스

  • 운영체제

  • WAS, DBMS 등의 미들웨어

  • 런타임 환경

 

SaaS(Software as a Service)

공급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하고 사용자에게 서비스로 제공하는 모델이다.

사용자는 완성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만을 가지며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대표적으로 Microsoft의 Office 365 등의 서비스가 있다.

  • IaaS의 네트워크, 스토리지, 서버, 가상화 된 리소스

  • PaaS의 운영체제, 미들웨어, 런타임 환경

  • 소프트웨어 관리 및 보안

  • 서비스로서의 애플리케이션

 

 

반응형